• pH
수용액에서는 샘플의 pH 가 제타전위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합니다. 서스펜젼내의 음전하를 띄는 입자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알칼리를 서스펜젼에 첨가를 하게 되면 입자들은 점점 더 강한 음전하를 띄게 됩니다. 서스펜젼에 산을 첨가하면 전하는 중성을 띄는 점까지 도달하고 될 것입니다. 산을 계속적으로 첨가하면 양전하를 띄게 될 것입니다.
이 경우, pH에 따른 제타전위 곡선은 낮은 pH에서는 양의 값을 높은 pH에서는 음의 값을 나타내는 갖게 될 것입니다. 그리고 pH에 따른 제타전위를 나타낼 때 전위값이 0이 되는 경우를 등전점이라고 하며 입자를 이햐할 수 있는 중요한 값입니다. 일반적으로 콜로이드 시스템에서 등전점보다 높아야 최소한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
• 전도도
이중층의 두께(κ-1)는 용액 내 이온의 농도에 따라 결정되고 이는 용액내의 이온의 힘에 따라 계산 할 수 있습니다. 이온의 힘이 크다면 더 압축된 이중층을 형성 할 수 있습니다. 이온 또한 이중충의 두께에 영향을 미칩니다.
Al3+와 같이 알루미늄 3 가의 이온은 Na+같이 1 가의 이온을 가지는 것과 비교했을 때 더욱 두꺼운 이중층을 형성합니다.
무기물이온은 둘 중 하나의 방법으로 표면의 전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 i)등전위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온흡착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ii)등전위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이온에 흡착이 일어나는 경우 입자표면에서의 이온 특정흡착은(비록 낮은 농도일 경우에도) 입자분산의 제타전위에 거대한 영향을 미칩니다. 몇몇의 경우에는 특정 이온흡착으로 전하가 역전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.
|